[01811] 서울 노원구 공릉로 23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상상관702호
copyright(c)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. All rights resesrved
제목 | [인문사회대학] 미래 이후 연구소 월례세미나 <신소재와 공예의 만남> | ||||
---|---|---|---|---|---|
작성자 | 인문사회대학 | 조회수 | 12 | 날짜 | 2025-09-02 |
첨부파일 |
|
||||
<신소재와 공예의 만남>
• 일시: 2025년 9월 19일(금) 오후 5시 • 장소: 중앙도서관 1층(34번 건물) ST아트홀
• 사회: 김상규(디자인학과)
발표1) 변재원(신소재공학과) “랩 다이아몬드가 10억년 천연의 가치를 대체할 수 있나?” 10억 년의 세월을 거쳐 만들어지는 천연 다이아몬드는 영원을 상징하는 보석이었으나, 이제 과학기술의 발달로 연구실에서 제조한 고품질의 합성 다이아몬드 보석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. 두 종류 다이아몬드의 생성 경로와 물질로서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고, 이로부터 창출되는 가치를 물질완전성, 심미성, 상징성, 사회적, 윤리적, 경제적 측면에서 비교 고찰한다.
발표2) 박창규(신소재공학과) “공학과 예술이 만날 때: 오간자-폴리머 메쉬의 접합” 금속공예디자인학과 정호연 교수와 함께 진행하고 있는 ST융합연구의 진행 상황을 공유한다. 정호연 교수는 오간자-폴리머 메쉬 접합을 이용해 다양한 예술품을 만들고 있는데 박창규 교수는 이 부분의 자동화 및 데이터화(접합 강도, 투과도, 색상 정보)를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.
종합토론
|
이전 내용이 없습니다.